성공의 척도

성공의 척도 = 언변 x 잘 쓸줄 아는능력 x 아이디어의 질

이 세가지 요소를 만들기 위해서는 지식 연습의 양 재능 이 필요 이중에 삶에 미치는 영향력 또한 지식 > 연습의 양 > 재능 순으로 중요

전문 체조선수 메리린튼과 초보스키수업을 들었던 적이 있었다. 그녀는 아무런 지식 없이도, 균형을 잃었을때 다시 밸런스를 잡아내었다. 이건 재능이다. 하지만 여전히 그녀는 초보였고 지식이 없었으고, 내가 지식의 양이 더 많았기 때문에 나는 그녀보다 더 잘해낼 수 있었다.

이야기의 시작

사람을 처음 만날때 농담으로 시작하지 말아야한다. 처음만난 사람은 이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탐색을 하고 음역대에 적응하는 시간이 필요 농담을 던지면 미지근할 수 있다.

이야기의 시작은 상대방이 무엇을 얻어갈 수 있는지 이야기하는게 효과적이다

"이 60분의 강의가 끝나면 여러분들은 몰랐던 말하기 지식을 습득할 것이고 지식들 중 몇몇은 여러분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 완벽한 동기부여

같은 주제를 반복해서 상대방에게 전달하라

4샘플(사이클)

한번만 설명해서는 여깄는 사람들의 20퍼센트가 강의 내용을 소화하지 못한채 자리를 뜨게 됩니다. 그래서 네번 반복해서 말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야기의 홍수에 빠지지 않게 이야기의 구조를 명확히 해야합니다. 구조가 명시적일 수록 이야기의 흐름을 놓쳣을때 다시 잘 돌아올 수 있습니다

질문하기

질문하고 7초를 기다립니다. 질문은 너무 쉽거나 어려우면 안됩니다. 너무 쉬우면 쑥스럽고, 너무 어려우면 말할 거리가 없습니다.

강의시간은 언제가 어디서 하는게 적절할까요?

11시 피곤해하지 않는 시간. 불빛이 밝게 비추는 공간 불빛이 어두워지면 잠을 자라는 신호를 보내는것과 같다.

판서를 하자

글씨를 쓰는 속도와 사람이 이해하는 속도가 비슷하기 때문에 판서는 좋은 강연방법이된다.

교구를 사용하자

내용을 전달할때 이해를 돕기위해 소품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좋다. 소품을 활용해서 강연을 하면 더 효과적인것은 거울신경세포가 활성화되기 때문, 강연자가 공을 만지면 학습자 또한 간접적으로 공을 만지고 있다.

슬라이드쇼

글자 도배하지 말고 자잘한 로고 점 타이틀등 불필요한 모든것을 제거하라 읽을거리가 많으면 강사의 말을 듣지 않는다 -> 피실험자는 말을 그만했으면 좋겟다, 방해가 된다고 말했다고 한다.

레이저포인터를 사용하면 청중과 아이컨텍을 하기 힘듬 지시봉도 사용하지 말라. 포인터를 사용하는대신 화살표를 삽입해서 청중들과 교감을 하는게 중요하다.

가장중요한것

청중들에게 이 강의를 통해서 얻어갈 수 잇는것에 대한 기대를 설정하고 영감을 불어넣을 수 있게 설계를 하는게 중요하다

영감은 어떻게 불어넣을 수 있는가? 새내기들은 자신이 할 수 있다고 말을 해주신 고등학교 선생님들에게 영감을 받았고, 교수님들에게는 문제를 다르게 보게 해 준 시각을 준 사람들에게 영감을 받았다고 합니다. 모든 사람들에게 공통적으로 영감을 주는 일은, 자신이 하는 일에 열정을 보여줬을 때 영감을 받는다는 사실이다.

어떤 면접관이 일자리를 줄 때 5분안에 본인의 비전과 자신이 뭘 해왔는지 잘 설명할 수 있다면 일자리를 줄 수 있다. 비전 : 문제점 제시와 접근방법 해온것 : 본인이 생각하기에 실질적인 솔루션

이야기의 마무리

농담 좋다 감사 -> 안좋다 지루한 강의를 들어줘서 (감사하다) 는 맥락으로 해석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