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neovim
*lunarvim

루나빔

개발자라면 누구나 vi, vim, nvim 등을 쉽게 접하고 한번쯤은 써보게 된다.

vim 은 아주 오래된 텍스트 에디터로 개발자에게 사랑받아왔던 개발도구인데, 필자도 유튜브에서 빔을 이쁘게 꾸며놓고 프로그래밍을 멋지게 해내는 영상들을 보고 한번쯤 써보고 싶다는 생각을 해왔다.

이후 삽질의 시간을 거쳐 루나빔에 대해 알게 되었고 지금은 커스터마이징의 수렁에서 조금은 헤어나오게 되었다.

루나빔은 neovim 이후로 나온 패키징 중에서 최강자로 자리잡고 있다. 비슷한 포지션에 nvchad, astrovim등이 있으나, 많은 사람들은 루나빔을 가장 잘 구성된 패키지라고 생각하고 있다. 필자도 이것 저것 깔아서 시도해봤지만.. 빔에 대해 잘 모르는 상태에서 가장 설정없이 쓰기 좋은 도구임에는 틀림없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설치

루나 빔 설치는 공식 홈페이지를 따르면 되지만 종종 필요한 의존성이 없어서 설치 안되는 경우들이 있다. 루나빔을 설치하기 위해선 네오빔(9.0버전 이상)과 메이크(컴파일관련)가 필요하다.

네오빔을 설치하는 방법은 브류(맥), apt(리눅스), scoop(윈도우) 등의 cli 소프트웨어 매니저를 이용한 방법이 있고 깃허브에서 이미지를 다운로드하거나 클론하는 방법 등등이 있는데, 리눅스에서 apt를 사용하게 되면 최신버전이 아닐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웬만하면 네오빔 깃허브를 찾아가서 설치하는게 좋다.

메이크는 패키지 매니저를 통해 받도록 하자.

사용가이드(내장 플러그인 포함)

스니펫

추가 플러그인

설정